신영증권 전산장애 보상 계산법 완전정리 (희망보상범위 산출 공식)

신영증권 전산장애 보상 계산법 완전정리 (희망보상범위 산출 공식)

보상바로가기

그린광학 상장일에 발생한 신영증권 서버 먹통 전산장애로 인해, 원하는 가격에 매도하지 못하고 더 낮은 가격에서 뒤늦게 매도해 손실이 발생한 사례가 많습니다. 이때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이 바로 희망보상범위 계산입니다. 즉, “장애가 없었더라면 얼마에 팔 수 있었는지”를 숫자로 증명하는 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계산 방식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신영증권 전자민원 페이지에 제출할 자료를 제대로 준비하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해 보세요.


1. 희망보상범위란 무엇인가?

신영증권 전자민원 화면에서 요구하는 핵심 입력 값 중 하나가 바로 희망보상범위입니다. 이 값은 간단하게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희망 매도가 - 실제 매도가) × 매도 수량

  • 희망 매도가 = 장애가 없었다면 체결 가능했다고 판단되는 가격
  • 실제 매도가 = 전산장애 끝난 후 뒤늦게 매도된 실제 체결 가격
  • 매도 수량 = 해당 시점에 매도하려고 했던 총 수량

즉, 서버 장애 때문에 놓친 가격 차이 × 보유 수량이 바로 보상 요청 금액이 됩니다.

핵심 요약: “장애가 없었으면 팔 수 있었던 가격”에서 “실제로 팔린 가격”을 빼고, 여기에 수량을 곱하면 희망보상범위가 계산됩니다.

2. 희망 매도가 설정 기준

희망 매도가는 아무 가격이나 적어서는 안 됩니다. 민원 검토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아래 기준 중 최소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시초가(54,000원) 기준

장 시작 직후 전산장애 이전에 고정된 가격이므로 가장 객관적인 기준입니다. 특히 장애가 09:00~09:03 사이였던 점을 고려하면, 시초가 54,000원은 매우 합리적인 희망 매도가입니다.

② 실제로 본인이 매도 버튼을 눌렀던 가격

장애 당시 매도 시도를 했던 가격이 있다면 그 금액을 그대로 적을 수 있습니다. 예: 54,500원 지정가를 눌렀지만 체결이 안 되었던 경우.

③ 고가(55,000원) 부근 매도 의사

그린광학은 상장 직후 55,000원 고가까지 형성했습니다. 이 구간에서 매도 시도를 했고, 실제로 앱 렉·전송 오류가 있었다면 고가 근처 가격도 가능합니다.

요약: 시초가·매도 시도 가격·고가 구간 중 실제 상황에 가장 부합하는 가격을 기준으로 희망 매도가를 설정하면 됩니다.
공식민원가기

3. 실제 매도가를 기준으로 계산해보기

그린광학은 전산장애 이후 빠르게 무너져 3만 원대 초반까지 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투자자가 31,350원, 30,900원 등에서 뒤늦게 체결되었다고 했습니다.

실제 예시 (가장 많이 나온 케이스)

희망 매도 : 54,000원
실제 매도 : 31,350원
수량 : 17주

(54,000 - 31,350) × 17 = 383,050원

즉, 장애가 없었으면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대비 약 38만 원 수준의 손실을 근거로 민원을 넣을 수 있습니다.

수량별 자동 계산 표

희망 매도가 54,000원 / 실제 31,350원 기준

  • 5주 → 113,250원
  • 8주 → 181,200원
  • 10주 → 226,500원
  • 17주 → 383,050원
  • 20주 → 453,000원
요약: 희망 매도와 실제 매도가 차이가 클수록 보상 요청 범위가 커지며, 수량이 많을수록 금액이 크게 상승합니다.

4. 민원 제출 시 꼭 포함해야 하는 5가지 요소

보상 계산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근거 제시”입니다. 아래 5가지를 반드시 적어야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 ① 장애 발생 시각 – 08:50~09:05 구간
  • ② 오류 메시지 – “전송 요청 중”, “네트워크 연결 불량” 등
  • ③ 매도 시도 가격 – 지정가/시장가
  • ④ 실제 체결 가격
  • ⑤ 계산된 희망보상범위

이 5가지를 명확히 적으면 담당자가 판단하기 훨씬 쉬워지고, 보상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요약: 시간·오류·시도 가격·실제 체결·보상 계산, 이 다섯 가지가 민원 설득의 핵심입니다.

민원접수하기
다음 이전